좋은 질문의 조건
대화에는 시간, 관심, 절제가 필요하다.
네 철학을 설명하지 마라. 누구에게나 철학은 있다 <에픽테토스>
1. 상대방의 입장에서 듣는다.
잘 들으려면 의지가 있어야 한다,
좋은 질문을 하려면 2인칭인 대화 상대의 의지를 기분으로 들어야 한다.
'저 말이 무슨 의미지?라는 생각을 하면서 듣는 훈련을 해야 한다. 인간은 습관적으로 '나'를 중심에 두고 들으려 하고 뭔가를 해결하려고 든다. '상대방의 입장에서 듣는 것은 결코 쉽지 않다.'
<연습>
- 나는 지금 어떻게 생각하지? 라고 하면서 상대의 말을 들어보자.
- 당신의 생각을 기록하고 무엇을 할지와 다른 사람의 반응도 기록하자.
- 그다음으로는 '저 말이 무슨 의미지? '라고 생각하면서 듣는 자세를 바꿔보자.
- 당신의 판단과 의견은 지워버리자.
2. 내 감정은 내려놓고 상대방의 말과 몸짓에 집중한다.
무심코 쓰는 접속사에 담긴 속마음
우리는 '그런데' '그러나' '여태' '아직도' 같은 단어를 통해 무의식적으로 자신의 의도를 드러낸다.
거리를 두고 듣기
상대의 말에 관심을 유지하려면 피상적으로 들어야 한다. 감정 이입을 하면 안 된다.
상상하지 않고 상대에게 관심을 유지한 채 상대가 말하는 것만 문자 그대로 듣게 된다.
<연습> 추상적으로 듣기
의미가 아닌 들리는 말에만 관심을 가져라.
3. 질문하기 전에 허락을 구해라.
중요한 것은 심층 대화를 나누기 전에 동의를 얻어야 하고 그때 사용할 질문을 스스로 연습하는 것이다.
4. 질문하기 전 20초 동안 침묵해 본다.
답이 안 나올 때는 시간을 두어라.
대화에는 시간, 관심, 절제가 필요하다.
5. 짜증을 짜증으로 받지 마라.
짜증은 자기 생각에 갇혀 있다는 표시
'왜 짜증이 나죠?'라고 질문하면서 상대방이 자신의 상태를 볼 수 있게 하고 결국에는 '자기의 생각에서 벗어나도록' 도와야 한다.
☆함께하면 좋은 글☆
소통, 부, 철학
생각이 많은 10대를 위한 철학 사전 《생각이 많은 10대를 위한 철학 사전》은 다름, 중독, 콤플렉스, 폭력, 희망 등 21가지 키워드를 통해 10대의 고민을 만나고 이에 대한 철학자의 생각을 살펴봄
ohgoodj.com